전봉준 장군 생가터 안내
전봉준 장군 생가터는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전봉준(1855~1895)이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낸 곳으로,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죽림리 당촌마을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곳은 전봉준이 1855년 12월 3일(양력 1856년 1월 10일)에 태어나 약 13세까지 거주한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생가터는 천안 전씨 족보인 『병술보』, 오지영의 『동학사』 등의 학술 고증과 마을 노인들의 증언을 통해 전봉준의 생가터로 인정받아, 2021년 4월 9일 전라북도 기념물 제146호로 지정되었습니다.
본래 전봉준의 생가는 서당, 안채, 사랑채 등으로 구성된 전통 가옥이었으나, 동학농민혁명 당시 관군에 의해 불에 타 현재는 터만 남아 있습니다. 현재는 안채와 곶간채 정도만 복원되어 있으며, 아담하고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초가집 형태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생가터 인근에는 고창 출신의 조각가 부부가 조성한 '뚜라조각공원'이 자리하고 있어, 역사적 의미와 함께 문화적 볼거리도 함께 즐길 수 있는 장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봉준 장군 생가터는 동학농민혁명의 정신을 되새기고, 전봉준의 생애와 업적을 기리는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많은 이들에게 의미 있는 방문지가 되고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안내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은 1894년 동학농민혁명의 역사와 정신을 기리기 위해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에 조성된 역사문화시설입니다. 이곳은 동학농민군이 전라감영군을 상대로 승리한 황토현 전적지(사적 제295호) 인근에 위치해 있어, 역사적 의미가 깊습니다.
- 지도: 전북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15
- 운영시간: 월: 정기휴무(매주 월요일), 화~일요일: 10:00 ~ 18:00
- 전화번호: 063-530-9451
- 관람료 : 무료
기념관은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상설전시실, 기획전시실, 어린이전시실, 교육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시실에서는 동학농민혁명의 전개 과정과 의의를 다양한 유물,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소개하고 있으며, 어린이전시실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교육 공간으로 활용됩니다. 또한, 교육관에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세미나가 진행됩니다
기념관은 매년 2회 주제별 기획 전시를 개최하며,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입니다. 휴관일은 매주 월요일과 1월 1일이며, 관람료는 무료입니다. 주차 시설도 마련되어 있어 방문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은 동학농민혁명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고 교육하는 공간으로, 역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의미 있는 방문지가 될 것입니다.
황토현전적지 안내
황토현 전적지는 1894년 동학농민군이 관군을 상대로 첫 승리를 거둔 역사적인 장소로, 전라북도 정읍시 덕천면 동학로 742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 전투는 동학농민운동의 전환점이 되었으며, 이후 농민군의 사기를 높이고 전국적인 확산의 계기가 되었습니다.
- 지도: 전북 정읍시 덕천면 하학리
- 전화번호: 063-536-2310
- 관람료 : 무료
황토현 전적지는 1981년 12월 10일 사적 제295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동학농민혁명기념관과 함께 하나의 기념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습니다. 기념관은 동학농민운동의 전개 과정과 의의를 다양한 유물, 사진, 자료 등을 통해 소개하고 있으며, 어린이전시실과 교육관도 마련되어 있어 교육적인 가치가 높습니다.
또한, 전적지 내에는 전봉준 장군의 동상과 제민당, 구민사 등 다양한 시설이 조성되어 있어 방문객들이 당시의 역사적 분위기를 체험할 수 있습니다. 매년 5월 11일에는 동학농민혁명 국가기념일을 맞아 다양한 행사가 개최되어 많은 이들이 찾는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황토현 전적지는 동학농민운동의 숭고한 정신을 계승하고 교육하는 공간으로, 역사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의미 있는 방문지가 될 것입니다.
우금치 전투지 안내
1894년 11월, 전봉준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은 공주 우금치에서 관군 및 일본군과 치열한 전투를 벌였습니다. 이 전투는 동학농민운동의 마지막 불꽃으로 평가되며, 농민군은 수적 우세에도 불구하고 현대식 무기로 무장한 관군과 일본군의 협공에 밀려 패배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동학농민운동은 급속도로 쇠퇴하게 되었습니다
현재 우금치 전투지는 동학농민군의 희생을 기리기 위한 위령탑과 기념공원이 조성되어 있으며, 방문객들은 이곳에서 당시의 역사적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매년 다양한 추모 행사와 교육 프로그램이 진행되어, 역사 교육의 현장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멀티모달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쉬엄쉬엄 한강 3종 축제' 뚝섬한강공원에서 즐겨요! (1) | 2025.05.09 |
---|---|
2025 서울국제정원박람회, 보라매공원에서 만나요 (4) | 2025.05.09 |
세계 철새의 날, 아이들과 함께 떠나는 생태 체험 (3) | 2025.05.09 |
아이와 떠나는 역사 체험, '동학농민혁명' 주말여행 가이드 (4) | 2025.05.09 |
서울어린이정원 페스티벌 속 생태 어드벤처 ‘쥐라기 정원’ (3) | 2025.05.08 |
2025 '서울드럼페스티벌', 노들섬에서 비트에 맞춰 도파민 폭발! (2) | 2025.05.08 |
에어로케이 '에어로위크' 항공권 최대 95% 할인 (4) | 2025.05.07 |
2025 차 없는 잠수교 뚜벅뚜벅 축제, 시민이 만드는 봄 이벤트 (5) | 2025.05.06 |